NFS 설정 방법 (자세히)
1) Network File System의 약자이며, TCP/IP 네트워크로 다른 컴퓨터에 있는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시켜 서버의 자료를 공유할 수 있게 해주는 시스템이다.
* NFS 마운트 데몬이다. * /etc/exports 설정에 따라 클라이언트의 마운트 요청을 처리한다. |
* 클라이언트가 rpc.mountd에 접속이 유지되면, rpc.nfsd를 사용하여 클라이언트의 요구에 따라 처리한다. * /etc/exports 설정에 따라 클라이언트는 다양한 작업을 할 수 있다. |
* 파일 잠금과 관련된 데몬으로 현재 사용 중인 파일을 다른 사람이 사용할 수 없게 잠그는 역할을 한다. |
* 파일 잠금과 해제의 역할을 한다. |
→ RPC(Remote Procedure Call) ㅍ로그램을 port(tcp/udp)에 매핑시켜주는 데몬이다. → NFS를 사용하려면 꼭 필요한 데몬이다. → RPC를 사용하는 프로그램(NFS)이 시작되면 portmap은 서비스를 제공할 port를 portmap에 등록시킨다. → portmap은 Time Service를 필요로 한다. (Time Service는 xinetd 데몬에 포함되어 있다.) → portmap이 자신의 운영체제에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하자. |
옵션 기능
root_squash 클라이언트에서 루트를 서버상에 nobody 사용자로 매핑한다.
no_root_squash 서버와 클라이언트 모두 같은 root를 사용한다.
ro 파일 시스템을 읽기전용으로 마운트 한다.
rw 파일시스템을 읽기/쓰기 로 마운트 한다.
insecure 인증되지 않은 액세스도 가능하다.
link_relative 서버에 있는 루트와의 링크를 포함하는 디렉토리에서 얻는 "../" 만큼 링크 앞에 두어 절대 심볼릭 링크를 상대 심볼릭 링크로 바꿀때 사용한다.
/home/redhat 디렉토리를 one.linux.co.kr과 two.linux.co.kr |
linux.co.kr 도메인 내에 있는 모든 컴퓨터들이 /usr/local/bin 파일 시스템을 읽기 전용으로 마운트된다. |
/pub 디렉토리에 대해서 읽기로만 마운트할 수 있고, 사용자 인증이 없이 액세스가 가능하며, 이 데렉토리 파일 시스템에 액세스 하는 모든 컴퓨터의 루트를 서버에서 nobody 사용자로 액세스할 수 있게 한다는 의미이다. |
→ NFS가 작동 중일때, RPC 정보를 보여주는 프로그램이다. |
nfs_server.linux.co.kr:/home/redhat/CD-ROM nfs_server.linux.co.kr 호스트에 있는 "/home/redhat/CD-ROM" 파일 시스템을 클라이언트 마운트 위치인 "users/redhat/CD-ROM"으로 마운트 하는 것이다. |
/users/redhat/CD-ROM nfs 파일 시스템은 nfs임을 나타낸다. |
timeo=15 타임아웃 시간은 1.5초로 설정한다. |
initr 파일 시스템 작동을 인터럽트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
3) NFS 마운트에서 사용되는 옵션
rsize = n NFS 서버로부터 읽어 들이는 바이트 수 지정, 기본값은 1024 바이트이다.
wsize = n NFS 서버에 쓰기할때 사용하는 바이트 수 지정, 기본값은 1024 바이트이다.
timeo = n RPC 타임아웃이 발생되고 나서 첫번째 재전송 요구를 보낼때 사용되는 시간으로 기본값은 7*1/10초이다.
retrans = n 주 타임아웃을 발생시키는 부 타임아웃과 재전송 횟수로 기본값은 3번의 타임아웃이다.
port = n NFS 서버와 연결할 수 있는 포트 번호를 지정한다.
fg 첫번째 NFS 마운트 시도에서 타임아웃이 발생되면 즉시 중단하며, 기본값이다.
intr 주 타임아웃이 발생되었을때 신호를 보내 NFS 호출을 인터럽트한다.
hard 주 타임아웃이 발생되면 server not responding 출력하고 무한정 재시도 한다.
soft 주 타임아웃이 발생되면 프로그램에게 I/O 에러를 보고한다.
'리눅스 > FTP'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바서버 설정 간단 메뉴얼 (0) | 2015.01.16 |
---|---|
vsftpd 디렉토리 및 파일 업로드시 자동으로 퍼미션 조절하기 (0) | 2015.01.16 |
NFS 설정 방법 (간단) - 구버전 (0) | 2015.01.16 |
iptables 시작시 ip_conntrack_ftp 모듈 시작 (0) | 2015.01.16 |
일반계정의 ftp 웹으로 접속하기 (0) | 2015.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