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치1.3 + 톰캣 연동하기

리눅스/APACHE|2015. 1. 16. 16:24
반응형

JAVA, TOMCAT, APACHE 연동   Apache 1.3.x 환경
(JDK 1.4.2.11, Tomcat 5.0.28, Tomcat-Connectors 1.2.15)


<
설치
>

1. 설치 순서

   1) Java 설치
   2) Tomcat 설치
   3) Apache + Tomcat 연동모듈 설치


2. 소스받기

mkdir /usr/local/src/tomcat
cd /usr/local/src/tomcat

wget 
http://seroot.com/file/j2sdk-1_4_2_11-linux-i586.bin
wget http://seroot.com/file/jakarta-tomcat-5.0.28.tar.gz
wget http://seroot.com/file/jakarta-tomcat-connectors-1.2.15-src.tar.gz



3. Java 설치


1) J2sdk 설치

cd /usr/local/src
chmod a+x  j2sdk-1_4_2_11-linux-i586.bin
./ j2sdk-1_4_2_11-linux-i586.bin 
mv j2sdk-1_4_2_11 /usr/local/java


2) Java 
관련 설정

vi /etc/profile

아래 내용 추가
export JAVA_HOME=/usr/local/java
export CATALINA_HOME=/usr/local/tomcat

source /etc/profile 


3) Java 
설정 
test

java -version



4. Tomcat 설치


1) 설치

cd /usr/local/src/tomcat
tar zxvf jakarta-tomcat-5.0.28.tar.gz
mv jakarta-tomcat-5.0.28 /usr/local/tomcat

2) 
설정 
test

/usr/local/tomcat/bin/startup.sh
-------------------------------------------------------------------------
Using CATALINA_BASE:   /usr/local/tomcat
Using CATALINA_HOME:   /usr/local/tomcat
Using CATALINA_TMPDIR: /usr/local/tomcat/temp
Using JAVA_HOME:       /usr/local/java
-------------------------------------------------------------------------
http://localhost:8080을 입력하였을 경우 tomcat의 첫페이지가 떠야 합니다
.

/usr/local/tomcat/bin/shutdown.sh 



5. Apache + Tomcat 연동 모듈 설치


1) 설치

tar zxvf jakarta-tomcat-connectors-1.2.15-src.tar.gz
mv jakarta-tomcat-connectors-1.2.15-src /usr/local/jakarta-tomcat-connectors-jk
cd /usr/local/jakarta-tomcat-connectors-jk/jk/native
./buildconf.sh
./configure --with-apxs=/usr/local/apache/bin/apxs
make && make install 


2) 
설정 
test

find / -name mod_jk.so -print 
/usr/local/apache/libexec 에 mod_jk.so 이 존재해야 합니다.



3) 연동 관련 설정


(1) Tomcat 관련 셋팅

cd /usr/local/tomcat/conf
cp -p server.xml server.xml.ORIG

vi server.xml

<Server port="8005" shutdown="SHUTDOWN" debug="0"> 
의 아래에 다음의 내용을 추가합니다
.

<!-- apache + tomcat connector configuration -->
<Listener className="org.apache.jk.config.ApacheConfig" append="true" forwardAll="false" modJk="/usr/local/apache/libexec/mod_jk.so" />

 



workers.properties 파일 생성

mkdir jk
cd jk
vi /usr/local/tomcat/conf/jk/workers.properties 

worker.list=ajp13
worker.ajp13.port=8009
worker.ajp13.host=localhost
worker.ajp13.type=ajp13 


(2) Apache 
관련 셋팅 

cd /usr/local/apache/conf
vi /usr/local/apache/conf/httpd.conf

DirectoryIndex 
지시자의 제일 끝에 index.jsp를 추가 합니다
. 
DirectoryIndex index.html index.html.var index.jsp 

DocumentRoot 지시자를 변경합니다
.
DocumentRoot "/usr/local/tomcat/webapps/ROOT"

제일 아래에 다음의 내용을 추가합니다
.

<IfModule mod_jk.c>

JkWorkersFile /usr/local/tomcat/conf/jk/workers.properties
JkLogFile /usr/local/tomcat/logs/mod_jk.log
JkLogLevel error
JkMount /*.jsp ajp13                                      <- tomcat 4 일 경우
JkMount /servlet/* ajp13                                 <- tomcat 4 일 경우
JkMount /examples/* ajp13                             <- tomcat 4 일 경우
JkMount /servlets-examples/* ajp13           <- tomcat 5 일 경우
JkMount /jsp-examples/* ajp13                   <- tomcat 5 일 경우
JkMount /examples/* ajp13                         <- tomcat 6 일 경우


</IfModule>



4) 
설정 
test

apache + tomcat 을 시작합니다
.
/usr/local/tomcat/bin/startup.sh 
/usr/local/apache/bin/apachectl start


브라우저에서 http://localhost을  입력하여 tomcat의 첫 페이지가 뜨는지 확인합니다.

반응형

'리눅스 > APACH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파치의 httpd 로그파일 상세 분석  (0) 2015.01.16
httpd.conf 파일에 대한 설명  (0) 2015.01.16
아파치2 + 톰캣5 연동하기  (0) 2015.01.16
보안서버(ssl) 실행 방법  (0) 2015.01.16
Virtualhost Redirect 사용하기  (0) 2015.01.16

댓글()

아파치2 + 톰캣5 연동하기

리눅스/APACHE|2015. 1. 16. 16:23
반응형

    mod_jk를 사용해서 아파치 와 톰캣 5.5를 연동하기


[순서]
jakarta-tomcat-connectors-jk2-2.0.4-src.tar.gz
( 아파치 1.x 에서는 jakarta-tomcat-connectors-1.2.15-src.tar.tar 이용 )
상위 파일로 /usr/local/apache/modules/mod_jk2.so 생성
- /usr/local/apache/conf/httpd.conf 수정
- /usr/local/apache/conf/workers2.properties 생성


※ 테스트 버젼 : Apache2.0.59 Tomcat5.5.25 Java1.5.0_07
                        Apache2.0.63 Tomcat5.5.27 Java1.5.0_07
                        Apache2.2.6 Tomcat5.5.27 Java1.5.0_16

※ 참고 : connector 2.0.2 사용 금지. 페이지가 떴다 안떴다 합니다.



1. 아파치2 설치 (생략)


2. 자바(JDK 1.5이상) 설치 (생략)
예) /etc/profile 내용 삽입
JAVA_HOME=/usr/java/jdk1.5.0_07
PATH=$PATH:$JAVA_HOME/bin:/usr/local/php/bin
export JAVA_HOME
export PATH=$PATH:/usr/local/bin:/usr/local/tomcat/bin
export JAVA_HOME=/usr/java/jdk1.5.0_07
export CATALINA_HOME=/usr/local/tomcat
라고 추가하고
source /etc/profile 명령을 실행해서 변경을 적용 시킵니다.


3. 톰캣 설치 (생략)
테스트 : # startup.sh 을 실행하면 톰캣이 실행됩니다.


4. mod_jk 설치하기
jakarta-tomcat-connectors-jk2-2.0.4-src.tar.gz 를 다운받고 아래처럼 실행합니다.

# tar xvzf jakarta-tomcat-connectors-jk2-2.0.4-src.tar.gz
# cd jakarta-tomcat-connectors-jk2-2.0.4-src/jk/native2
# ./buildconf.sh
# ./configure --with-apxs2=/usr/local/apache/bin/apxs
# make
# make install  <- 원래 안됌. mod_jk2.so 파일을 만들기 위해 make 까지만 합니다.

mod_jk2.so 파일을 찾아서 /usr/local/apache/modules 디렉토리 안에 복사해 넣고,
권한은 755로 설정되어있는지 확인합니다.


5. 아파치를 톰캣에 연결하기
/usr/local/apache/conf 디렉토리에 workers2.properties 라는 이름의 파일을 만들고 아래의 내용을 입력한 후 저장합니다.


[shm]
file=/usr/local/apache/logs/jk2.shm
size=1048576

[channel.socket:localhost:8009]
port=8009
host=127.0.0.1

[ajp13:localhost:8009]
channel=channel.socket:localhost:8009

[uri:/examples/*]
worker=ajp13:localhost:8009

[uri:/*.jsp]
worker=ajp13:localhost:8009

[uri:/servlets-examples/*]
worker=ajp13:localhost:8009

[uri:/jsp-examples/*]
worker=ajp13:localhost:8009

[uri:www.domain.com/*.jsp]
worker=ajp13:localhost:8009



httpd.conf
 에 아래의 내용을 추가합니다.


LoadModule jk2_module modules/mod_jk2.so

DirectoryIndex index.html index.html.var index.php index.jsp

AddType application/x-httpd-php .html .htm .php .php3 .php4 .php5 .phtml .cgi .inc .jsp

최하단에
<IfModule mod_jk.c>
JkWorkersFile /usr/local/tomcat/conf/jk2.properties
JkLogFile /usr/local/tomcat/logs/jk.log
JkLogLevel info
</IfModule>


/usr/local/tomcat/conf/jk2.properties
 생성
channelSocket.port=8009
shm.file=/usr/local/apache/logs/jk2.shm
apr.jniModeSo=inprocess


아파치를 재구동 합니다.

http://Web_server_name_or_IP:8080 에 접속해 봅니다.
http://Web_server_name_or_IP/jsp-examples 과
http://Web_server_name_or_IP/servlets-examples 에 접속하여 연동을 확인합니다.



jakarta-tomcat-connectors-jk2-2.0.4-src.tar.gz


반응형

'리눅스 > APACHE'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tpd.conf 파일에 대한 설명  (0) 2015.01.16
아파치1.3 + 톰캣 연동하기  (0) 2015.01.16
보안서버(ssl) 실행 방법  (0) 2015.01.16
Virtualhost Redirect 사용하기  (0) 2015.01.16
tar 분할 압축하기  (0) 2014.12.30

댓글()

보안서버(ssl) 실행 방법

리눅스/APACHE|2015. 1. 16. 16:22
반응형

우선 아파치를 내려놓고
# /usr/local/apache/bin/apachectl stop

보안서버 실행
# /usr/local/apache/bin/apachectl startssl
(암호입력)

* 참고

apache 1.3.x 또는 httpd 2.0.x 에서는 startssl 을 사용하고

httpd 2.2.x 부터는 startssl 명령이 아닌, 본래의 start 로 실행 가능합니다.

반응형

'리눅스 > APACHE'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tpd.conf 파일에 대한 설명  (0) 2015.01.16
아파치1.3 + 톰캣 연동하기  (0) 2015.01.16
아파치2 + 톰캣5 연동하기  (0) 2015.01.16
Virtualhost Redirect 사용하기  (0) 2015.01.16
tar 분할 압축하기  (0) 2014.12.30

댓글()

Virtualhost Redirect 사용하기

리눅스/APACHE|2015. 1. 16. 16:22
반응형

<VirtualHost *:80>
    ServerName yourdomain.co.kr                      // 입력하면 연결되면서 주소가 아래(Redirect)로 변경
    ServerAlias www.yourdomain.co.kr
    Redirect / http://www.google.com        // 주소창에 나오는 주소
</VirtualHost>

* 참고

Redirect /data http://www.google.com 이라고 했을때
브라우저에 yourdomain.co.kr 으로 접속 후, 하위폴더인 /data 로 접근시도하려는 경우에만
자동으로 http://www.google.com 으로 포워딩 시킨다는 설정입니다.

반응형

'리눅스 > APACHE'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tpd.conf 파일에 대한 설명  (0) 2015.01.16
아파치1.3 + 톰캣 연동하기  (0) 2015.01.16
아파치2 + 톰캣5 연동하기  (0) 2015.01.16
보안서버(ssl) 실행 방법  (0) 2015.01.16
tar 분할 압축하기  (0) 2014.12.30

댓글()

Ajaxplorer 5.0.4 설치 (NAS open source)

리눅스/FTP|2015. 1. 16. 11:56
반응형
Ajaxplorer 는 이미 구성된 웹서버에 추가 설치하여 사용가능한 NAS 솔루션 입니다.

[설치 테스트했던 웹서버 환경]
Apache 2.2.17
PHP 5.2.17


1. 다운로드
root@sysdocu:~# cd /usr/local/src
root@sysdocu:~# tar xvzf ajaxplorer-core-5.0.4.tar.gz

압축을 풀어 나타난 디렉토리를 적절한 위치로 옮겨놓습니다.
저는 이미 생성해놓은 /home/nas 디렉토리에 public_html 이라는 이름으로 변경하며 옮겨놓았습니다.
root@sysdocu:~# mv ajaxplorer-core-5.0.4 /home/nas/public_html

데이타 업로드시 쓰기권한이 필요하므로 퍼미션 및 소유자를 변경해줍니다.
root@sysdocu:~# chmod 777 /home/nas/public_html/data
root@sysdocu:~# chown nobody.nobody /home/nas/public_html -R        // 보안에 취약한 부분이니 서버 환경에 알맞은 계정으로 변경 적용해야 합니다.

도메인을 이용한 웹페이지 접속이 가능하도록 virtualhost 설정을 합니다.

<VirtualHost *:80>
    DocumentRoot "/home/nas/public_html"
    ServerName nas.sysdocu.tistory.com
</VirtualHost>

저장 후 설정 적용을 위해 아파치 재시작을 해줍니다.
root@sysdocu:~# /usr/local/apache/bin/apachectl restart


2. 설치
웹브라우저를 이용해 설정했던 도메인으로 접속을 합니다.


출력되는 페이지 상단의 click here to continue to Ajaxplorer. 링크를 클릭하여 설치를 진행합니다.

설치 절차에 따라 Admin access, Global options, Configurations storage, Add some users 를 입력합니다.

끝으로 맨 하단의 'Install AjaXplorer Now!' 버튼을 누르면 설치를 진행하고 로그인 페이지가 뜹니다.

상단에 Admin access 에 등록했던 관리자 계정으로 로그인해보고 각종 설정 메뉴를 익히도록 합니다.


반응형

댓글()

vsftp error - 530 This FTP server is anonymous only.

리눅스/FTP|2015. 1. 16. 11:56
반응형

/etc/vsftpd.conf 를 아래와 같이 수정하고 데몬을 재시작해주면 됩니다.

 

anonymous_enable=NO
local_enable=YES
 

반응형

댓글()

500 OOPS: vsftpd: cannot locate user specified in 'ftp_username':ftp

리눅스/FTP|2015. 1. 16. 11:56
반응형

서버보안관련 작업이 필요해서 구글링으로 하나하나 도움얻고 작업하던중에 

불필요한 계정을 지우고 불필요한 서비스를 제거 하라는 글을 보고 작업진행 중 발생

 

불필요한 계정을 지우고 나니 아래와 같은 오류메시지가 뜨면서 ftp 접속이 안되는 상황이 생김

500 OOPS: vsftpd: cannot locate user specified in 'ftp_username':ftp

 

근데 웃긴건 웹서버가 3대인데 3대다 똑같이 불필요한 계정 지우고 불필요한 서비스 제거 했는데

1대는 접속이 되고 두대는 접속이 안되는 상황이었음..

3대 서버다 vsftp 가 설치되어 있었고 vsftpd.conf 설정도 동일 하고 운영체제 버전 및 깔린 내용도 동일...

근데 1대는 접속되고 2대는 안되는 어처구니 없는 상황...

결국에는 또 구글신의 도움으로 해결... 하아... 서버관리자도 아니고..ㅜㅜ

여러가지 내용들이 있었지만 간단하게 ftp 라는 계정과 그룹을 추가해서 해결함

#vi /etc/passwd
-->ftp:x:14:50:FTP User:/var/ftp:/sbin/nologin
#vi /etc/group
-->ftp:x:50:

이렇게 하고 ftp 접속하니 참 잘되네.... 

 

여기서 하나 이해가 안되는건 왜 1대는 접속이 잘 된걸까....

 

[출처] 진짜친구 (http://g5dfath2r.thoth.kr/?document_srl=19059763)

반응형

댓글()

vsftpd 로그 자세하게 남기기

리눅스/FTP|2015. 1. 16. 11:55
반응형

vsftpd 설정 파일을 아래 옵션으로 변경합니다.

 

* 설정파일 : /etc/vsftpd/vsftpd.conf

 

xferlog_enable=NO
xferlog_std_format=NO
dual_log_enable=YES
log_ftp_protocol=YES

 

내용 저장후 vsftpd 를 재시작 해주면 적용이 됩니다.

 

* 로그 파일 : /var/log/vsftpd.log

반응형

댓글()

파일질라로 한글파일 전송시 깨질때

리눅스/FTP|2015. 1. 16. 11:54
반응형

파일질라의 메뉴 [파일] > [사이트 관리자] 에서 문자셋을 'cp949' 로 입력후 접속하면 됩니다.

반응형

댓글()

vsFTP 상위 디렉토리 이동제한 설정

리눅스/FTP|2015. 1. 16. 11:54
반응형

설정파일 : /etc/vsftpd/vsftpd.conf

 

chroot_local_user=YES    // 사용자 디렉토리 위로 이동을 제한 합니다.

chroot_list_enable=NO    // chroot_list 파일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만약이 항목을 YES로 수정했을 경우

                                              /etc/vsftpd/chroot_list 파일을 만들고 접속 허용할 계정을 입력하면 됩니다.

                                              (그 외 사용자는 접속 불가함)

반응형

'리눅스 > FTP' 카테고리의 다른 글

vsftpd 로그 자세하게 남기기  (0) 2015.01.16
파일질라로 한글파일 전송시 깨질때  (0) 2015.01.16
proftpd, vsftpd 서버 시간 맞추기  (0) 2015.01.16
lftp 속도 제한  (0) 2015.01.16
lftp 액티브모드로 접속하기  (0) 2015.01.16

댓글()

proftpd, vsftpd 서버 시간 맞추기

리눅스/FTP|2015. 1. 16. 11:54
반응형

대부분의 FTP 서버는 GMT 시간을 표시하게 된다. 
GMT는 우리나라 표준시와 약 9시간의 시간 차이가 나는데,
FTP client로 파일을 전송하고 나면 파일 생성 시간이 9시간 전으로 나타나게 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럴 때는 FTP 서버의 로컬 시간을 표시하도록 해주면 된다.

vsftpd.conf
use_localtime=YES  <-- 없으면 추가

proftpd.conf
TimesGMT  off  <-- 없으면 추가 

데몬 재시작

참고사항..

 

---------------------------------------

**** Proftpd에서 GMT를 off 하였는데도 시간이 맞지 않는다면

/etc/init.d/proftpd 의 첫줄에

export  TZ=":/etc/localtime"  

를 추가한다.

 

다른 방법으로는

proftpd.conf 파일에

 

SetEnv TZ :/etc/localtime

를 추가한다.

 


반응형

'리눅스 > FTP'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일질라로 한글파일 전송시 깨질때  (0) 2015.01.16
vsFTP 상위 디렉토리 이동제한 설정  (0) 2015.01.16
lftp 속도 제한  (0) 2015.01.16
lftp 액티브모드로 접속하기  (0) 2015.01.16
vsftpd 각 옵션 설명  (0) 2015.01.16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