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dadm을 이용한 software raid 만들기

리눅스/OS 일반|2014. 12. 30. 23:49
반응형

-----------------------------------------------
 Software RAID
-----------------------------------------------

 

1. mdadm 유틸리티 설치하기

 

 


2. 소프트웨어 레이드 만들기 사례

1) 두 번째와 세 번째 하드를 이용하여 100MB짜리 미러 볼륨(raid-1) 만들기

; 파티션 하기 ---------------------  
;
; 설명중 [ ]안은 상황에 따라 다른 것을 써야 함
; 두 개의 하드디스크 /dev/sdb와 /dev/sdc를 사용함 (파티션되지 않은 하드라고 가정함)
; 두 하드를 각각 100MB 용량으로 파티션하고 파티션 종류를 'Linux raid auto'로 설정함
; 100MB씩 주어야하는 이유는 미러 볼륨이니까
; 다음과 같이 파티션을 실행함.
;
fdisk /dev/sdb     
   명령 : n --> p --> [1] --> 시작 [enter] --> 용량[+100M]  --> t(change type) --> fd(Linux raid auto) --> w
fdisk /dev/sdc
   명령 : n --> p --> [1] --> 시작 [enter] --> 용량[+100M]  --> t(change type) --> fd(Linux raid auto) --> w


; Software RAID 만들기 ------------------

mdadm -C /dev/md0 -l 1 -n 2 /dev/sdb1 /dev/sdc1 
;   -C create라는 뜻이겠지요.
;   /dev/md0는 /dev/md1 또는 /dev/md5와 같이 바꿀 수 있겠고요. mknod명령으로도 만들 수 있고요. mdadm명령을 사용하면 자동으로 만들어져요.
;  -l i가 아닌 L입니다.  Level이라는 옵션이구요.  1이면 raid-1 5이면 raid-5입니다.
;  -n 사용하는 파티션 수입니다.  -n 2는 2개의 파티션을 사용한다는 뜻이지요.
; 맨 뒤에 실제로 사용하는 파티션을 순서대로 공백으로 구분하면서 적습니다.

mdadm --detail --scan
; 소프트웨어 레이드가 잘 만들어졌는지 확인하는 명령입니다.


; 포맷하기 ----------------------------

mkfs -t ext3 /dev/md0
; ext3 파일시스템으로 포맷합니다. 시간이 좀 걸리겠지요.


; 마운트하기 ------------------------

mkdir /mirror   ; 마운트할 빈 디렉터리를 만들고,
mount /dev/md0  /mirror  ;  raid-1 볼륨을 /mirror에 마운트 했습니다.


; 영구 마운트하기 -------------------

; /etc/fstab 파일을 vi 편집기로 편집합니다.
; 다음과 같은 행을 추가 합니다. 
; 띄어쓰기를 조심하지 않으면 낭패를 봅니다.

 /dev/md0 /mirror ext3 defaults 1 1 


2) 2~4번째 하드 3개를 이용하여 200MB짜리 Raid-5 볼륨 만들기

; 파티션 과정은 미러 볼륨과 같음
; 각 파티션의 용량은 100MB로 함 (세 개 중 하나는 복구용으로 사용하므로 실제 사용 가능한 용량은 300이 아닌 200MB가 됨)

; Raid 만들기에서 다음과 같은 식으로 함

 # mdadm -C /dev/md1 -l 5 -n 3 /dev/sdb2 /dev/sdc2  /dev/sdd1


; 포맷하고 마운트하는 과정은 똑 같음

 

-- 검색할 때는 mdadm이라는 키워드로 검색하면 엄청 많은 자료가 있어요.  되도록 누가 간단히 요약해 놓은 자료만 탐독하지 말고, RAID의 원리부터 차근 차근 공부할 수 있게 되어 있는 사이트들을 보았으면 하네요.

 

-- Red Hat Linux 9: Red Hat Linux 사용자 정의 가이드 중 RAID 부분 (넘기다 보면 LVM도 나오지요)

     http://coffeenix.net/doc/RH-DOCS/rhl-cg-ko-9/s1-raid-why-use.html

 

-- LVM에 대한 짧은 글 : http://www.linuxlab.co.kr/docs/01-05-4.htm

 

 

[출처] 모든가능성 | 조화 (http://blog.naver.com/hjunki?Redirect=Log&logNo=100094179645)

반응형

댓글()

리눅스 quota 설정

리눅스/OS 일반|2014. 12. 30. 23:48
반응형

우선, 예전 쿼타 설정 문서(http://kldp.org/HOWTO/mini/html/Quota/index.html)을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쿼타패키지의 버전업에 따라 쿼타설정이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


1.Quota 설정상태 확인
시스템에 설치된 quota 패키지의 버전을 확인합니다.
rpm -qa | grep quota
quota-3.03-1


2.fstab 파일에 usrquota 옵션 추가
quota를 설정하고자 하는 파티션에 usrquota (사용자별) 또는 grpquota (그룹별) 등의 옵션을 추가합니다. 같이 사용 가능합니다.

vi /etc/fstab

LABEL=/                 /                       ext3    defaults        1 1
LABEL=/boot             /boot                   ext3    defaults        1 2
none                    /dev/pts                devpts  gid=5,mode=620  0 0
LABEL=/home             /home                   ext3    defaults,usrquota        1 2
none                    /proc                   proc    defaults        0 0
none                    /dev/shm                tmpfs   defaults        0 0
LABEL=/tmp              /tmp                    ext3    defaults        1 2
LABEL=/usr              /usr                    ext3    defaults        1 2
LABEL=/usr/local        /usr/local              ext3    defaults        1 2
LABEL=/var              /var                    ext3    defaults        1 2
/dev/hda2               swap                    swap    defaults        0 0


3. Quota 기록 파일 생성
quota를 설정하고자 하는 최상위 파티션에 aquota.user 또는 aquota.group 등의
쿼타기록 파일을 생성합니다.
그 파일들의 퍼미션은 보안상 600 모드를 줍니다.

cd /home
touch aquota.user
chmod 600 aquota.user


4. 파티션 리로드
파일시스템을 재인식 시키기 위해서 리부팅을 하거나

mount -o remount /home 의 명령으로 리마운트를 합니다.


5. Quota 데이타베이스파일 초기화
quota 상태를 체크하여 aquota.user 파일을 초기화시킵니다.

quotaoff -avug
/dev/hda3 [/home]: user quotas turned off

quotacheck -avug
quotacheck: WARNING -  Quotafile /home/aquota.user was probably truncated. Can't save quota settings...
quotacheck: Scanning /dev/hda3 [/home] done
quotacheck: Checked 456 directories and 6013 files

quotaon -avug
/dev/hda3 [/home]: user quotas turned on


6. Quota 상태 확인
현재 설정된 쿼타 내용을 확인합니다.

repquota -a
*** Report for user quotas on device /dev/hda3
Block grace time: 7days; Inode grace time: 7days
                        Block limits                File limits
User            used    soft    hard  grace    used  soft  hard  grace
----------------------------------------------------------------------
root      --  889244       0       0           1124     0     0       
admin     -- 2253416       0       0            414     0     0       
test      --    1160       0       0             25     0     0


7. Quota 할당
하드용량을 admin 계정에게 200MB을 할당하고자 한다면 아래와 같이
명령을 내린 후 수동으로 soft와 hard에 204800을 입력하고 저장합니다. 

edquota -u admin
Disk quotas for user admin (uid 500):
  Filesystem                   blocks       soft       hard     inodes     soft     hard
  /dev/hda3                   2253416    204800   204800        414        0        0       

저장후 쿼타할당 상태를 확인하면 아래와 같이 바뀌어 있을 것입니다.

repquota -a
*** Report for user quotas on device /dev/hda3
Block grace time: 7days; Inode grace time: 7days
                        Block limits                File limits
User            used    soft    hard  grace    used  soft  hard  grace
----------------------------------------------------------------------
root      --  889244       0       0           1124     0     0       
admin     -- 2253416 204800 204800            414     0     0       
test      --    1160       0       0             25     0     0       


8. 기타 (명령 command 로 limit 설정)
수동으로 편집하여 적용하기 어려운 환경에서는 quotatool 을 이용하면 명령 command 로 적용이 가능해집니다.

rpmfind.net 에서 검색해서 받으면 되며, 아래는 CentOS 7 에서 설치할 수 있는 rpm 파일입니다.


# wget http://rpmfind.net/linux/epel/7/x86_64/Packages/q/quotatool-1.6.2-3.el7.x86_64.rpm

# rpm -i quotatool-1.6.2-3.el7.x86_64.rpm


적용

# quotatool -u sysdocu -b -q 10M -l 10M /home

// 설명: sysdocu 계정의 -b (블록설정) -q (소프트쿼터:경고알림) 10M -l (하드쿼터:강제적용) 10M /home (파티션위치)

// 설명 : inode 제한은 -b 대신 -i 로 하면 됩니다. 모든 설명은 --help 를 참조.


반응형

댓글()

VLC media player 1.0.2 (무료 스트리밍 서비스 프로그램)

리눅스/OS 일반|2014. 12. 30. 23:47
반응형

무료 스트리밍 서비스 프로그램

 

여러 OS버전이 있음

 

http://www.videolan.org/

반응형

댓글()

<defunct> 좀비 프로세스 Kill 시키기

리눅스/OS 일반|2014. 12. 30. 23:46
반응형

ps -ef|grep defunct | awk '{print $3}' | xargs kill -9


위 명령과 동시에 root 세션이 끊어져 버리므로 주의 (재로그인 해야 한다)

반응형

댓글()

파일내 특정 문자열 일괄 변경하기 (하위 디렉토리 포함)

리눅스/OS 일반|2014. 12. 30. 23:45
반응형

find . -name "*" -exec perl -pi -e 's/바꿀문자/새로운문자/g' {} \; 

반응형

댓글()

스퀴드 (이미지캐싱) 초기화 명령

리눅스/OS 일반|2014. 12. 30. 23:45
반응형

# cd /sbin/
# ln -s /usr/local/squid/sbin/squid
# squid -z

 

squid -z : 초기화

반응형

댓글()

chkconfig 이용하여 런레벨별 구동 데몬 설정

리눅스/OS 일반|2014. 12. 30. 23:44
반응형

# chkconfig --add vsftpd

# chkconfig --level 3 vsftpd on

# chkconfig --level 5 vsftpd on


vsftpd 를 구동선택할 수 있는 데몬으로 추가하고 3번, 5번 런레벨 에서만 vsftpd 를 구동되도록 설정한다.

반응형

댓글()

폴더 및 파일 수정 날짜 변경

리눅스/OS 일반|2014. 12. 30. 23:42
반응형

# touch -t 08151521 readme.txt

 

설명 : 08월 15일 15시 21분

반응형

댓글()

시스템 시간 수동 설정

리눅스/OS 일반|2014. 12. 30. 23:42
반응형

수동 설정시
# date -s "2009-05-22 18:01:00"

자동 설정시
# rdate -s time.bora.net

반응형

댓글()

vi 에서 색상 나타나게 하기

리눅스/OS 일반|2014. 12. 30. 23:42
반응형

vi 에디터 사용시 다채로운 색상이 보이지 않을때

 

1. /etc/bashrc 파일의 맨 아래줄에 아래 옵션을 추가합니다.

alias vi='vim'

 

2. 아래 명령으로 설정값을 적용합니다.

# source /etc/bashrc

반응형

댓글()

잘못푼 압축파일(tar.gz) 지우는 방법

리눅스/OS 일반|2014. 12. 30. 23:39
반응형

tar 파일을 풀었을때 다른 기존의 문서들과 섞여서 어느 파일이 풀린것인지 모를경우 난감합니다.

이때 아래 명령으로 풀기 전의 상태로 돌아갈 수 있습니다. (금방 풀린 파일 삭제)


# rm -f 'tar xvzf neulwon.tar.gz'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