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내 특정 문자열 일괄 변경하기 (하위 디렉토리 포함)

리눅스/OS 일반|2014. 12. 30. 23:45
반응형

find . -name "*" -exec perl -pi -e 's/바꿀문자/새로운문자/g' {} \; 

반응형

댓글()

스퀴드 (이미지캐싱) 초기화 명령

리눅스/OS 일반|2014. 12. 30. 23:45
반응형

# cd /sbin/
# ln -s /usr/local/squid/sbin/squid
# squid -z

 

squid -z : 초기화

반응형

댓글()

chkconfig 이용하여 런레벨별 구동 데몬 설정

리눅스/OS 일반|2014. 12. 30. 23:44
반응형

# chkconfig --add vsftpd

# chkconfig --level 3 vsftpd on

# chkconfig --level 5 vsftpd on


vsftpd 를 구동선택할 수 있는 데몬으로 추가하고 3번, 5번 런레벨 에서만 vsftpd 를 구동되도록 설정한다.

반응형

댓글()

폴더 및 파일 수정 날짜 변경

리눅스/OS 일반|2014. 12. 30. 23:42
반응형

# touch -t 08151521 readme.txt

 

설명 : 08월 15일 15시 21분

반응형

댓글()

시스템 시간 수동 설정

리눅스/OS 일반|2014. 12. 30. 23:42
반응형

수동 설정시
# date -s "2009-05-22 18:01:00"

자동 설정시
# rdate -s time.bora.net

반응형

댓글()

vi 에서 색상 나타나게 하기

리눅스/OS 일반|2014. 12. 30. 23:42
반응형

vi 에디터 사용시 다채로운 색상이 보이지 않을때

 

1. /etc/bashrc 파일의 맨 아래줄에 아래 옵션을 추가합니다.

alias vi='vim'

 

2. 아래 명령으로 설정값을 적용합니다.

# source /etc/bashrc

반응형

댓글()

잘못푼 압축파일(tar.gz) 지우는 방법

리눅스/OS 일반|2014. 12. 30. 23:39
반응형

tar 파일을 풀었을때 다른 기존의 문서들과 섞여서 어느 파일이 풀린것인지 모를경우 난감합니다.

이때 아래 명령으로 풀기 전의 상태로 돌아갈 수 있습니다. (금방 풀린 파일 삭제)


# rm -f 'tar xvzf neulwon.tar.gz'

반응형

댓글()

리눅스 하드웨어 정보 확인하기 (lshw)

리눅스/OS 일반|2014. 12. 30. 23:37
반응형

* CentOS 6.4 (테스트 환경)에서는 아래와 같이 yum 으로 설치 가능했습니다.

# rpm -ivh http://dl.fedoraproject.org/pub/epel/6/x86_64/epel-release-6-8.noarch.rpm

# rpm -ivh http://rpms.famillecollet.com/enterprise/remi-release-6.rpm

# yum install lshw


아래 경로에서 원하는 버전을 다운로드 받습니다.

 

다운로드 URL : http://pkgs.repoforge.org/lshw/

 

1. 설치

[root@neulwon ~]# cd /usr/local/src

[root@neulwon src]# wget http://pkgs.repoforge.org/lshw/lshw-2.16-1.el6.rf.x86_64.rpm

[root@neulwon src]# rpm -ivh lshw-2.16-1.e16.rf.x86_64.rpm

 

2. 사용법

[root@neulwon src]# lshw               // 상세보기

또는

[root@neulwon src]# lshw -short    // 간략히 보기


반응형

댓글()

리눅스 Xwindow + VNC server 설치 및 설정 (CentOS 6)

리눅스/OS 일반|2014. 12. 30. 23:36
반응형

1. 패키지 설치
VNC 
패키지가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 rpm -qa|grep vnc
gtk-vnc-python-0.3.2-3.el5
gtk-vnc-0.3.2-3.el5
vnc-4.1.2-14.el5_3.1
gtk-vnc-devel-0.3.2-3.el5
vnc-server-4.1.2-14.el5_3.1

설치되지 않았을 경우설치를 합니다.

# yum -y install vnc*
# yum -y install gtk-vnc*


2. 
접속 설정
설정파일을 열어 맨 하단에 아래 두줄을 추가합니다. (그 외 모든항목은 주석처리)

# vi /etc/sysconfig/vncservers 

  VNCSERVERS="1:root"
  VNCSERVERARGS[2]="-geometry 800x600 -nolisten tcp -nohttpd -localhost"


1) 1: X-window 화면 번호 (번호에 따라 접속포트가 변경됩니다. [예] 5900 + 1 = 5901 : 접속 포트 번호)
2) root : 
접속자를 말합니다보안상 root가 아닌 일반계정으로 설정하는게 좋습니다.
3) 
두개 이상의 계정으로 접속할 경우상단 두줄을 계속해서 똑같이 하단에 복사후 사용하시면 됩니다.


3. 
접속 패스워드 설정
VNC server 
접속에 필요한 암호를 입력해줍니다.

# vncpasswd 


4. VNC
화면 설정
# vi /root/.vnc/xstartup

  #!/bin/sh

  # Uncomment the following two lines for normal desktop:
  # unset SESSION_MANAGER
  # exec /etc/X11/xinit/xinitrc

  [ -x /etc/vnc/xstartup ] && exec /etc/vnc/xstartup
  [ -r $HOME/.Xresources ] && xrdb $HOME/.Xresources
  xsetroot -solid grey
  vncconfig -iconic &
  xterm -geometry 120x40+10+10 -ls -title "$VNCDESKTOP Desktop" &
  startkde &


주석처리 해제할 부분을 위와같이 설정해줍니다.
맨 하단 startkde &  는 KDE GUI 방식으로 접속함을 의미하며,
gnome-session & 
는 GNOME GUI 방식으로 접속함을 의미합니다.
(
기본값인 twm & 의 경우 파란바탕에 터미널 창만 보여집니다.)


5. VNC server 
실행
# /etc/init.d/vncserver start

이제, VNC client 로 서버에 접근이 가능합니다.

VNC client 실행 > Server : 사용하는IP:5901 > VNC접속 패스워드 입력

접속포트는 5900 + (/etc/sysconfig/vncserver 에 등록한 화면 번호)입니다.
[예] 5900 + 1 = 5901 (접속포트번호)


[
접속이 안될경우 및 추가 작업]

1) 방화벽 확인
iptables 
등 방화벽에 해당포트가 열려있는지 확인합니다.
아래 명령으로 VNC서버가 사용하는 포트 확인이 가능합니다.
# netstat -nlp | grep vnc

2) X-window 설치 여부 확인
설치가 되지 않았을 경우 아래와 같이 설치를 해줍니다.
# yum groupinstall 'X Window System'

3) GUI 방식 설치
설치가 되지 않았을 경우 아래와 같이 설치를 해줍니다.
KDE 설치
# yum groupinstall "KDE (K Desktop Environment)"
GNOME 설치
# yum groupinstall "GNOME Desktop Environment"

 

4) 접속시 검은 바탕화면에 마우스 포인트만 보일 경우 아래처럼 관련파일의 퍼미션을 변경합니다.

chmod 777 /etc/sysconfig/vncservers

chmod 777 /root/.vnc -R

또는 /tmp 아래 vnc 관련 파일 모두 삭제후 재부팅을 해봅니다.

 

5) 접속시 한글이 네모형태로 깨져 보일 경우

# yum -y install openoffice.org-langpack-ko_KR.i386

(OS가 64bit 일경우 뒤에 .i386은 빼고 명령내리시면 됩니다.)

 

6) 회색 바탕에 체크박스 3개, 쉘창이 1개 떠있는 경우

위에서 설정한 /root/.vnc/xstartup 파일 마지막줄에 KDE나 GNOME 이 사용가능하도록

되어있는지 다시 한 번 살펴 봅니다.

* 첨부파일 : 윈도우즈용 VNC Client 


vnc-4_1_3-x86_win32_viewer.exe

반응형

댓글()

yum 명령이 되지 않을경우

리눅스/OS 일반|2014. 12. 30. 23:35
반응형

yum 명령이 되지 않을 경우, 아래 파일을 수정 후 yum 을 재실행 합니다.

vi /etc/yum.repos.d/CentOS-Base.repo

-------------------------------------------------------------------
[base]
name=CentOS-$releasever - Base
baseurl=http://ftp.daum.net/centos/$releasever/os/$basearch/
gpgcheck=1
gpgkey=http://ftp.daum.net/centos/RPM-GPG-KEY-CentOS-5

[updates]
name=CentOS-$releasever - Updates
baseurl=http://ftp.daum.net/centos/$releasever/updates/$basearch/
gpgcheck=1
gpgkey=http://ftp.daum.net/centos/RPM-GPG-KEY-CentOS-5

[addons]
name=CentOS-$releasever - Addons
baseurl=http://ftp.daum.net/centos/$releasever/addons/$basearch/
gpgcheck=1
gpgkey=http://ftp.daum.net/centos/RPM-GPG-KEY-CentOS-5

[extras]
name=CentOS-$releasever - Extras
baseurl=http://ftp.daum.net/centos/$releasever/addons/$basearch/

gpgcheck=1
gpgkey=http://ftp.daum.net/centos/RPM-GPG-KEY-CentOS-5

[centosplus]
name=CentOS-$releasever - Plus
baseurl=http://ftp.daum.net/centos/$releasever/centosplus/$basearch/
gpgcheck=1
enabled=0
gpgkey=http://ftp.daum.net/centos/RPM-GPG-KEY-CentOS-5
-------------------------------------------------------------------

 

 

CentOS 4.x 의 경우

 

-------------------------------------------------------------------

# CentOS-Base.repo
#
# This file uses a new mirrorlist system developed by Lance Davis for CentOS.
# The mirror system uses the connecting IP address of the client and the
# update status of each mirror to pick mirrors that are updated to and
# geographically close to the client.  You should use this for CentOS updates
# unless you are manually picking other mirrors.
#
# If the mirrorlist= does not work for you, as a fall back you can try the 
# remarked out baseurl= line instead.
#
#

 

[base]
name=CentOS-$releasever - Base
#mirrorlist=http://mirrorlist.centos.org/?release=$releasever&arch=$basearch&repo=os
#baseurl=http://mirror.centos.org/centos/$releasever/os/$basearch/
baseurl=http://vault.centos.org/4.9/os/$basearch
gpgcheck=1
gpgkey=http://mirror.centos.org/centos/RPM-GPG-KEY-centos4

#released updates 
 

[update]
name=CentOS-$releasever - Updates
#mirrorlist=http://mirrorlist.centos.org/?release=$releasever&arch=$basearch&repo=updates
#baseurl=http://mirror.centos.org/centos/$releasever/updates/$basearch/
baseurl=http://vault.centos.org/4.9/os/$basearch
gpgcheck=1
gpgkey=http://mirror.centos.org/centos/RPM-GPG-KEY-centos4

#packages used/produced in the build but not released
 

[addons]
name=CentOS-$releasever - Addons
#mirrorlist=http://mirrorlist.centos.org/?release=$releasever&arch=$basearch&repo=addons
#baseurl=http://mirror.centos.org/centos/$releasever/addons/$basearch/
baseurl=http://vault.centos.org/4.9/os/$basearch
gpgcheck=1
gpgkey=http://mirror.centos.org/centos/RPM-GPG-KEY-centos4

#additional packages that may be useful
 

[extras]
name=CentOS-$releasever - Extras
#mirrorlist=http://mirrorlist.centos.org/?release=$releasever&arch=$basearch&repo=extras
#baseurl=http://mirror.centos.org/centos/$releasever/extras/$basearch/
baseurl=http://vault.centos.org/4.9/os/$basearch
gpgcheck=1
gpgkey=http://mirror.centos.org/centos/RPM-GPG-KEY-centos4

#additional packages that extend functionality of existing packages
 

[centosplus]
name=CentOS-$releasever - Plus
#mirrorlist=http://mirrorlist.centos.org/?release=$releasever&arch=$basearch&repo=centosplus
#baseurl=http://mirror.centos.org/centos/$releasever/centosplus/$basearch/
baseurl=http://vault.centos.org/4.9/os/$basearch
gpgcheck=1
enabled=0
gpgkey=http://mirror.centos.org/centos/RPM-GPG-KEY-centos4

#contrib - packages by Centos Users
 

[contrib]
name=CentOS-$releasever - Contrib
#mirrorlist=http://mirrorlist.centos.org/?release=$releasever&arch=$basearch&repo=contrib
#baseurl=http://mirror.centos.org/centos/$releasever/contrib/$basearch/
baseurl=http://vault.centos.org/4.9/os/$basearch
gpgcheck=1
enabled=0
gpgkey=http://mirror.centos.org/centos/RPM-GPG-KEY-centos4

-------------------------------------------------------------------

반응형

댓글()

yum 으로 패키지그룹 설치하기

리눅스/OS 일반|2014. 12. 30. 23:34
반응형

서버에 설치된 패키지 그룹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yum grouplist 

패키지 그룹 추가설치를 원할 경우 아래와 같이 사용 가능 합니다.
(예. 개발툴 및 관련 라이브러리)
yum groupinstall 'Development Tools' 'Development Libraries'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