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ndterm 4.1.5 설치 (webssh)

리눅스/OS 일반|2014. 12. 31. 00:36
반응형

mindterm 을 설치하면 SSH Client 프로그램이 없어도 웹브라우져를 통해 접속이 가능합니다.

우선 접속하려는 서버의 환경은 java applet 이 실행되는 환경으로 맞추어 주세요.

(jdk 및 tomcat 설치 생략)


# cd /usr/local/src

# wget http://tech.cryptzone.com/download/MindTerm-4.1.5/mindterm_4.1.5-bin.zip

# unzip mindterm_4.1.5-bin.zip

# cd mindterm-4.1.5


압축이 풀린 디렉토리에 mindterm.jar 파일이 있습니다.

이 파일을 웹으로 접속 가능한 디렉토리로 이동(또는 복사) 시켜주세요.

그리고 별도 웹페이지 (예: index.jsp) 를 만듭니다.


# cp -arp mindterm.jar /home/sysdocu/public_html/

# cd /home/sysdocu/public_html

# vi index.jsp

<head>

<title>Mindterm WEB SSH Gate</title>

<style type="text/css">

    h1 {

        font-size: 25px;

        font-family: tahoma, sans-serif;

        font-weight: bold;

        text-align: center;

        margin-top: 50px;

    }

</style>

</head>


<body>

    <h1>Mindterm WEB SSH Gate</h1>


    <applet archive="mindterm.jar" code="com.mindbright.application.MindTerm.class" width="1000" height="600">

        <param name="cabinets" value="mindterm.cab">

        <param name="protocol" value="ssh2">

        <param name="sepframe" value="false">

        <param name="debug" value="true">

        <param name="bg-color" value="black">

        <param name="fg-color" value="white">

        <param name="cursor-color" value="yellow">

        <param name="encoding" value="euc-kr">

        <param name="font-name" value="Monospaced">

        <param name="exit-on-logout" value="true">

    </applet>


</body>

</html> 


이제 웹브라우저를 이용해 접속해봅니다.


http://sysdocu.tistory.com/index.jsp



* 참고

- index.jsp 내용중 width="1000" height="600" 옵션으로 SSH 접속 화면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 접속창을 별도로 띄우고 싶으면(팝업 창 처럼) sepframe 값을 true 로 수정하면 됩니다.


- 사이트 접속시 아래와 같은 오류 메시지가 나타날 경우 client java 설정을 변경해주세요.

  에러 : attempted to open sandboxed jar http://sysdocu.tistory.com/mindterm.jar as a Trusted-Library

  해결 : [시작] > [모든 프로그램] > Java > Configure Java > [보안]탭에서 보안 레벨을 '중간' 으로 낮추어 주세요.

반응형

댓글()

FreeBSD 디스크 정보 확인

리눅스/OS 일반|2014. 12. 31. 00:35
반응형
우선 disk 관련 정보를 출력해봅니다.

[root@localhost] ~# sysctl -a |grep -i disk
kern.disks: ada2 ada1 ada0 cd0
kern.geom.disk.cd0.led:
kern.geom.disk.ada0.led:
kern.geom.disk.ada1.led:
kern.geom.disk.ada2.led:
0 DISK ada2 5368709120 512 hd 16 sc 63
1 MULTIPATH multipath/disk1 5368708608 512(null)<State>DEGRADED</State>
0 DISK ada1 5368709120 512 hd 16 sc 63
0 DISK ada0 5368709120 512 hd 16 sc 63
0 DISK cd0 0 2048 hd 0 sc 0
z0xca04de80 [shape=box,label="MULTIPATH\ndisk1\nr#2"];
z0xca04d880 [shape=hexagon,label="multipath/disk1\nr0w0e0\nerr#0"];
z0xc41d3200 [shape=box,label="DISK\nada2\nr#1"];
z0xc41d3980 [shape=box,label="DISK\nada1\nr#1"];
z0xc6f2d980 [shape=box,label="DISK\nada0\nr#1"];
z0xc41d3d80 [shape=box,label="DISK\ncd0\nr#1"];
z0xca1d6200 [shape=box,label="DEV\nmultipath/disk1\nr#3"];
      <name>disk1</name>
          <name>multipath/disk1</name>
    <name>DISK</name>
      <name>multipath/disk1</name>
Processes:              (RUNQ: 1 Disk Wait: 0 Page Wait: 0 Sleep: 51)
vfs.nfs.diskless_rootpath:
vfs.nfs.diskless_valid: 0


위와 같이 ada0, ada1, ada2 이런 문자가 보인다면 아래 명령으로 좀 더 자세하게 살펴 볼 수 있습니다.
해당 디스크 장치 정보 출력

[root@localhost] ~# diskinfo -v ada0
ada0
        512             # sectorsize
        5368709120      # mediasize in bytes (5.0G)
        10485760        # mediasize in sectors
        4096            # stripesize
        0               # stripeoffset
        10402           # Cylinders according to firmware.
        16              # Heads according to firmware.
        63              # Sectors according to firmware.
                        # Disk ident.

[root@localhost] ~# diskinfo -v ada1
ada1
        512             # sectorsize
        5368709120      # mediasize in bytes (5.0G)
        10485760        # mediasize in sectors
        4096            # stripesize
        0               # stripeoffset
        10402           # Cylinders according to firmware.
        16              # Heads according to firmware.
        63              # Sectors according to firmware.
                        # Disk ident.

[root@localhost] ~# diskinfo -v ada2
ada2
        512             # sectorsize
        5368709120      # mediasize in bytes (5.0G)
        10485760        # mediasize in sectors
        4096            # stripesize
        0               # stripeoffset
        10402           # Cylinders according to firmware.
        16              # Heads according to firmware.
        63              # Sectors according to firmware.
                        # Disk ident.


반응형

댓글()

[xrdp] 원격 데스크탑 연결(mstsc)로 Xwindow 접속하기

리눅스/OS 일반|2014. 12. 31. 00:34
반응형

Xwindow 는 기본으로 설치되어있다는 가정하에 설명합니다.

 

[root@sysdocu ~]# cd /usr/local/src

[root@sysdocu src]# wget http://downloads.sourceforge.net/project/xrdp/xrdp/0.6.0/xrdp-v0.6.0.tar.gz

[root@sysdocu src]# tar xvzf xrdp-v0.6.0.tar.gz

[root@sysdocu src]# cd xrdp-v0.6.0

[root@sysdocu xrdp-v0.6.0]# ./bootstrap

[root@sysdocu xrdp-v0.6.0]# ./configure

[root@sysdocu xrdp-v0.6.0]# make

[root@sysdocu xrdp-v0.6.0]# make install

 

포트 변경을 원할경우 아래 파일에서 [globals] 부분의 port 를 수정하면 됩니다.

[root@sysdocu xrdp-v0.6.0]# vi /etc/xrdp/xrdp.ini

port=3389

 

사용하는 포트를 iptables 방화벽에 등록하여 외부에서 접속이 가능하도록 합니다.

 

xrdp 를 실행합니다.

[root@sysdocu xrdp-v0.6.0]# /etc/xrdp/xrdp.sh start

반응형

댓글()

우분투에서 root 비밀번호를 분실했을 경우

리눅스/OS 일반|2014. 12. 31. 00:33
반응형

리부팅시 CentOS 의 single 모드로 진입할때처럼

kernel 뒤에 single 대신 'rw init=/bin/bash' 를 추가해주고 부팅을 하면 됩니다.

그리고 passwd 명령을 이용하여 원하는 패스워드로 설정합니다.

반응형

댓글()

mount: wrong fs type, bad option, bad superblock on //backup.neulwon.com/neulwon

리눅스/OS 일반|2014. 12. 31. 00:30
반응형

# mount -t cifs -o username=sysdocu,password=1234 //backup.sysdocu.tistory.com/sysdocu /backup

mount: wrong fs type, bad option, bad superblock on //backup.sysdocu.tistory.com/sysdocu,
       missing codepage or helper program, or other error
       (for several filesystems (e.g. nfs, cifs) you might
       need a /sbin/mount.<type> helper program)
       In some cases useful info is found in syslog - try
       dmesg | tail  or so
 

cifs 형식의 마운트 명령시 위와 같은 메세지가 출력된다면 필요한 리눅스 패키지를 설치합니다.

 

yum install cifs-utils        // CentOS 일 경우

apt-get install cifs-utils    // Ubuntu 일 경우

반응형

댓글()

우분투 cron 되지 않을경우

리눅스/OS 일반|2014. 12. 31. 00:30
반응형

1. 사용 권한 확인

/etc/cron.allow 에 등록된 사용자인지 확인하고 /etc/cron.deny 에 등록된 사용거부자 인지도 확인해보아야 합니다.

 

2. 데몬 가동 여부

cron 데몬이 정상 가동되고 있는지 확인합니다.

# ps -ef|grep cron

 

3. 실행 스크립트 최상단에 환경변수 선언

/etc/profile 의 환경변수 (예: path) 가 필요한 경우 구동될 쉘스크립트 맨 상단에 환경변수를 입력하면 실행이 됩니다.

 

* 로그에는 실행 기록이 남는데 결과가 나타나지 않을경우 위의 '3'번이 원인일 확률이 높음

 

반응형

댓글()

우분투 /etc/resolv.conf 네임서버 초기화 문제 해결방법

리눅스/OS 일반|2014. 12. 31. 00:24
반응형

우분투에서 네임서버 설정을 해도 리부팅하면 초기화 되어버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아래와 같은 패키지 설치 후 파일을 수정함으로써 해결이 가능합니다.

 

# apt-get -y install resolvconf

# echo "nameserver 164.124.101.2" >> /etc/resolvconf/resolv.conf.d/head

# resolvconf -u

 

 

반응형

댓글()

nodejs 설치

리눅스/OS 일반|2014. 12. 31. 00:23
반응형

최신버전의 nodejs 설치할려면 최신버전의 GLIBC 를 요구한다.

[root@test bin]# ./node

./node: /lib64/libc.so.6: version `GLIBC_2.9' not found (required by ./node)

./node: /lib64/libc.so.6: version `GLIBC_2.6' not found (required by ./node)

./node: /lib64/libc.so.6: version `GLIBC_2.7' not found (required by ./node)

 

그래서.... CentOS 5.8 에서 위 문제 때문에 nodejs 를 설치못했다...

CentOS 6.3 을 사용하는게 정신 건강에 좋다.

 

 

 

1> nodejs 설치하기

 

http://nodejs.org/download/

 

압축풀어서  /usr/local/nodejs 요렇게 폴더명 변경

 

.bash_profile 에 패스등록  기본적인건 알어서...

PATH:/usr/local/nodejs/bin

 

2> npm 설치 (http://npmjs.org/)

# curl https://npmjs.org/install.sh | clean=yes sh
# npm -v

 

npm 은 nodejs 의 패키지 관리 툴이다.

 

 

 

패키지 설치는...https://npmjs.org/  요기가서...

 

 

vi  test.js

#!/usr/bin/env node

 

 

3> nodejs 용 MVC 프레임워크 express 설치  http://expressjs.com/

npm install express -g

 

 

 

http://blog.naver.com/jhsmhlove?Redirect=Log&logNo=20160040939

 

 

 

svn 을 자동 백업하도록 스크립트를 짜 보았다.

crontab 에 등록해서 목적에 맞게 튜닝후 사용하면 될듯 하다.

 

[root@223 svn_controll]# cat backup.js 


#
!/usr/bin/env node

 

var sys = require('sys') , exec = require('child_process').exec, child;

var fs = require('fs');

var now = new Date();

var sDate = now.getFullYear() + '_' + now.getMonth() + '_' + now.getDate();

child = exec('svn info  svn://localhost/Christmas | grep "^리비전:" | awk '{print $2}' ',

    function( error, stdout, strerr ){

        var curr = parseInt(stdout);        

        var last = parseInt( fs.readFileSync( 'Christmas_last' ,'utf8') );

 

        if( last != curr){

          exec('svnadmin dump /home/svn/Christmas -r ' +last+ ':'+curr+' --incremental  >  Christmas_' + sDate + '_'+last+'To'+curr+'.dump');

          fs.writeFileSync('Christmas_last', curr,'utf8');

        }

   }

);


 

 http://gyuha.tistory.com/440

 

 

 http://firejune.com/tag/Express

http://firejune.com/1693/Cluster%EB%A5%BC+%EC%9D%B4%EC%9A%A9%ED%95%9C+Node.JS%EC%9D%98+%EB%A9%80%ED%8B%B0-%EC%BD%94%EC%96%B4+%EC%84%9C%EB%B2%84+%EA%B4%80%EB%A6%AC?stag=Express

 

http://devsw.tistory.com/131

 


[출처] forioso님의 블로그 (http://blog.naver.com/forioso?Redirect=Log&logNo=10152627484)

반응형

댓글()

CD롬 마운트

리눅스/OS 일반|2014. 12. 31. 00:23
반응형

# mkdir /test

# mount -t iso9660 /dev/cdrom /test

반응형

'리눅스 > OS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분투 /etc/resolv.conf 네임서버 초기화 문제 해결방법  (0) 2014.12.31
nodejs 설치  (0) 2014.12.31
파일의 캐릭터셋 확인하기  (0) 2014.12.31
HDD 쓰기 속도 측정  (0) 2014.12.31
GMT 시간 변경  (0) 2014.12.31

댓글()

파일의 캐릭터셋 확인하기

리눅스/OS 일반|2014. 12. 31. 00:23
반응형

nkf --guess sysdocu.php
UTF-8 (LF)

 

위와 같은 식으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nkf 가 없을 경우 yum install 로 설치 가능합니다.

반응형

'리눅스 > OS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dejs 설치  (0) 2014.12.31
CD롬 마운트  (0) 2014.12.31
HDD 쓰기 속도 측정  (0) 2014.12.31
GMT 시간 변경  (0) 2014.12.31
rsync 접근 권한 설정 (user table 이용)  (0) 2014.12.31

댓글()

HDD 쓰기 속도 측정

리눅스/OS 일반|2014. 12. 31. 00:22
반응형

[쓰기 속도 측정]


아래는 1M 파일을 1024개 생성하여 1G 의 파일을 쓰는데 소요된 시간을 출력합니다.

 

# time dd if=/dev/zero of=testfile bs=1024k count=1024

1024+0 레코드 들어옴

1024+0 레코드 나감

1073741824 bytes (1.1 GB, 1.0 GiB) copied, 1.83687 s, 585 MB/s


real 0m1.840s

user 0m0.000s

sys 0m0.602s

 

 

[읽기 속도 측정]


[root@sysdocu ~]#  hdparm -Tt /dev/sda

/dev/sda:
 Timing cached reads:   1940 MB in  2.00 seconds = 969.72 MB/sec
 Timing buffered disk reads:  384 MB in  3.01 seconds = 127.59 MB/sec

반응형

'리눅스 > OS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CD롬 마운트  (0) 2014.12.31
파일의 캐릭터셋 확인하기  (0) 2014.12.31
GMT 시간 변경  (0) 2014.12.31
rsync 접근 권한 설정 (user table 이용)  (0) 2014.12.31
yum 명령어 실행 에러 (File "/usr/bin/yum", line 30)  (0) 2014.12.31

댓글()